[1부 CSiEDA5를 이용한 설계]
제1장 설치
1. CSiEDA5 CD-ROM으로 설치
1.1 CD-ROM 삽입 (Setup.exe 실행)
1.2 CSiEDA5 설치
1.3 CSiEDA5 설치 진행
1.4 CSiEDA5 개정판 설치
1.5 CSiEDA5 개정판 설치 진행
1.6 실행 아이콘의 등록 확인
2. 네트워크 라이센스 키서버 설치
2.1 CD-ROM 삽입 (Setup.exe 실행)
2.2 CSiEDA5 키서버 설치
2.3 CSiEDA5 키서버 설치 진행
2.4 CSiEDA5 키서버 실행 아이콘의 등록 확인
3. 하드 키 드라이버 설치
3.1 드라이버 설치 실행
3.2 드라이버 설치
3.3 USB 타입 하드키의 인식
3.4 하드키 고유번호의 인식
3.5 라이센스 파일의 등록
4. 네트워크 라이센스 키서버 설정
4.1 네트워크 라이센스 키서버 실행
5. 네트워크 라이센스 클라이언트 설정
5.1 네트워크 라이센스 클라이언트 실행
6. CSiEDA 5 실행
6.1 User Environment 등록
6.2 노드락 라이센스 파일 등록
7. 인터넷에서 최신버전 다운로드
7.1 설치CD를 이용하여 다운로드 사이트 접속
8. 문제 해결
제2장 CSiEDA5 실행
1. CSiEDA5 실행 메뉴
1.1 아이디 생성 및 로그인
1.2 화면 구성
1.3 주 작업 창 실행 메뉴
1.4 주 작업 창 실행 메뉴 열기
2. 화면 조작 방법
2.1 창 컨트롤
2.2 보조창 메뉴 전환
2.3 작업 화면 컨트롤 (화면 확대 축소 이동)
3. 작업 파일
3.1 작업 파일의 종류
3.2 새 작업 시작하기
3.3 작업 파일 열기
3.4 이전에 열었던 파일 다시 열기
3.5 라이브러리 파일
3.6 프로젝트 작업
4. 작업환경
4.1 언어 설정
4.2 그리드 스냅 조정
4.3 색상 팔레트 - Schematic Designer용
4.4 배선 두께 조정 PCB Designer용
4.5 레이어 관리 PCB Designer용
4.6 페어 레이어 관리 PCB Designer용
4.7 단위 계산
4.8 Script Editor 와 Message List
4.9 초기 화면 열기
4.10 현재 작업 중인 창 열기
4.11 기본 설정값의 저장
5. 전자문서
6. 인터넷 홈페이지
제3장 회로도 작성
1. 회로도 작성 순서
2. CSiEDA5 실행
3. Schematic Designer 화면 실행
4. 그리드·스냅 설정
5. 색상 설정
6. Default 저장
7. 라이브러리 파일 등록
8. 부품 배치
8.1 부품 이동
8.2 부품 회전
8.3 부품 반전
8.4 Power 추가
8.5 부품 삭제
9. 배선
9.1 배선 작업
9.2 신호선 코너 작성
9.3 배선 취소
9.4 배선 중 Junction 작성
10. Reference 입력
10.1 Reference
10.2 Reference Annotation
10.3 Reference Initialization
10.4 수동으로 Reference 편집하기
11. 회로도 검증
11.1 Design Check 실행
11.2 에러 내용 수정
11.3 메시지 리스트
12. 네트리스트 출력
13. PCB로 데이터 전송
13.1 PCB 라이브러리 파일 등록
13.2 PCB 부품 지정
13.3 PCB로 데이터 전송
14. 파트리스트 출력
제4장 회로 부품 작성
1. Library Manager
2. 부품 작성 순서
3. 부품 Pin 작성
3.1 핀 작성 순서
3.2 Pin Designer 실행
3.3 원점 설정
3.4 Pin 모양 작성
3.5 Pin Point 작성
3.6 Pin 속성 설정
3.7 저장
4. 부품 Symbol 작성
4.1 Symbol 작성 순서
4.2 Symbol 파일(*.sym ) 작성
4.3 Symbol Designer 실행
4.4 Symbol 원점 설정
4.5 Symbol 모양 작성
4.6 Pin 모양 추가
4.7 Symbol 속성 설정
4.8 저장
5. 부품 작성
5.1 부품 작성 순서
5.2 부품 파일 신규 작성
5.3 Part Library Designer 실행
5.4 Symbol 부품 등록
5.5 Design Tab 설정
5.6 Attribute Tab 설정
5.7 Pins Tab 설정
5.8 저장
제5장 PCB 작성
1. PCB 작성 순서
2. CSiEDA5 실행
3. PCB Designer 화면 실행
4. 그리드·스냅 설정
5. 배선 두께 설정
6. Layer & Color 설정
6.1 레이어 구성
6.2 각종 오브젝트
6.3 층의 표시비표시
6.4 Color 설정
7. Default 저장
8. PCB Designer로 회로도 데이터 전송
8.1 PCB Designer로 회로도 데이터를 전송하는 순서
8.2 회로도 파일 열기
8.3 PCB용 라이브러리 파일 등록
8.4 PCB Designer로 데이터 전송
9. 저장
10. 디자인(DRC) 설계 규칙 작성
10.1 DRC 설계 규칙 작업 예
10.2 비아 설정
10.3 배선 층 설정
11. Board Outline 작성
11.1 Board Outline 개요
11.2 Board Outline 실행
11.3 Board Outline 작성 예 - Command Line
12. 부품 배치
12.1 부품 이동 & 배치
12.2 부품 회전
12.3 부품 탑재층 변경 - 부품 반전
13. 배선
13.1 배선 작성 방법
13.2 배선 경로 변경
13.3 배선 각도 변경
13.4 배선 되돌리기
13.5 배선 방향 전환
13.6 End No Via
13.7 비아 생성
13.8 End Via
13.9 라인의 배선 변환
14. Copper 작성
14.1 Copper Pour 작성 예
15. Design Rule Check
16. PCB 3DView 데이터 출력
16.1 PCB Designer와 PCB 3DView Designer의 관계
17. Gerber 파일 작성
17.1 Gerber Format
17.2 RS-274D RS-274X 출력
17.3 출력 대상 Gerber File
17.4 Gerber 형식
17.5 Aperture File
17.6 Gerber 파일 작성 예
18. Gerber Batch 출력
18.1 Gerber Batch 출력 작성 순서
18.2 Gerber Option 설정
18.3 Batch 설정
19. NC Drill 출력
19.1 NC Drill Data 작성 방법
20. NC Drill Mark 작성
20.1 NC Drill Mark 작성
20.2 NC Drill Mark 설정
20.3 NC Drill Mark 이동
20.4 NC Drill Mark 복사
20.5 설계 화면 복귀
21. Part Assembly Position 출력
21.1 Part Assembly Position
21.2 Part Assembly Position 출력
21.3 Part Assembly Position Data
제6장 PCB 부품 작성
1. 라이브러리 파일 개념
2. 부품 작성 순서
3. Pad Stack 작성
3.1 Pad Stack 메뉴 열기
3.2 Pad Stack개념
3.3 Pad Stack 파일(*.psf )
3.4 Pad List 작성
3.5 내층 패드
3.6 User Draw 패드
3.7 Shape Wizard
4. PCB 부품 작성
4.1 부품 작성 순서
4.2 PCB Package Library Designer 열기
4.3 Pad Stack File 읽기
4.4 패드 추가
4.5 실크 작성
4.6 Reference 설정
4.7 패드 번호 변경
4.8 Save
5. Command Line을 이용한 패드 배치
6. 패드 작성 예
7. 부품 작성 예
[2부 PCB 설계 일반]
제1장 인쇄 회로기판의 외형 설계
1.1 인쇄회로기판의 원판 외형 규격
1.2 인쇄회로기판의 재질
1.3 PCB원판의 외관
1.4 기본구조
1.5 종횡(縱橫)방향
1.6 인쇄회로기판의 짧은 변(종)치수
1.7 인쇄회로기판 표면의 절연
1.8 인쇄회로기판을 잡을 수 있는 공간
1.9 인쇄회로기판의 모서리 모양
1.10 기본적인 외형 형상
1.11 복잡한 외형 형상
1.12 소형 인쇄회로기판을 여러 개를 얻고자 할 때
1.13 같은 종류의 인쇄회로기판을 여러 개 얻고자 할 때
제2장 Hole 치수 설계
2.1 기본격자의 설정(GRID 설정)
2.2 부품삽입 HOLE 직경과 올바른 설정 방법
2.3 파나홀 가공
2.4 삽입HOLE 직경과 PAD 직경 및 SOLDER RESIST
2.5 Machine Hole 모양
2.6 Machine Hole 부근의 배선
2.7 Machine Hole 부근의 HOLE
2.8 Machine Hole부분을 꺾는 경우
2.9 평형단자용 HOLE
2.10 대형 HOLE을 뚫는 형상
2.11 각진 HOLE의 코너부의 형상
2.12 각진 HOLE과 각진 HOLE의 간격
2.13 PAD의 모양 및 규격
2.14 부품 설치 HOLE의 간격
2.15 AXIAL RADIAL 부품별 HOLE의 간격을 지정하는 방법
2.16 칩 부품의 패드 만드는 방법
2.17 IC 타입의 부품의 패드 만드는 방법
2.18 IC 설치부의 유지 보수용 HOLE 설치
2.19 인쇄회로기판 설치용 HOLE 동박
2.20 인쇄회로기판 설치 HOLE의 위치
2.21 HOLE과 인쇄회로기판의 외주의 간격
2.22 자동 삽입용 기판 기준 HOLE
2.23 연면(連綿) 절연(절연용 s1it)
2.24 낙뢰 서지의 침입방지 (방전용 SLIT)
제3장 PAD배선의 형상 설계
3.1 PAD 설정에 대한 조건
3.2 PAD의 형상
3.3 PAD의 간격
3.4 납땜 PAD(레지스트가 있을 때)
3.5 연속PAD(레지스트가 없을 때)
3.6 큰 PAD의 형상(레지스트가 없을 때
3.7 PAD 부의 첫머리 형상
3.8 배선의 직각부에서의 PAD형상
3.9 PITCH간격이 좁은 부품간의 패턴
3.10 전해 콘덴서용 PAD
3.11 PAD CUT 해야 하는 PAD의 규격
3.12 동박의 SLIT방향
3.13 TEST POINT 설정의 조건
3.14 TEST POINT 금지장소
3.15 PAD와 다른 동박 및 타 부품과의 간격(레지스트가 있을 때)
3.16 TEST POINT 부간의 간격
3.17 CUT PAD의수치
3.18 CUT PAD 하지 않은 부분
3.19 GROUND 동박의 형상
3.20 배선 폭 및 배선간격
3.21 배선의 코너부 형상
3.22 배선의 폭이 넓은 부분과 좁은 부분
3.23 좁고 긴 직선의 배선
3.24 배선 면적이 큰 경우
3.25 PAD와 인쇄회로기판 단면과의 간격
3.26 배선과 인쇄회로기판과의 간격
제4장 부품배치설계
4.1 고전압 회로의 부품선정
4.2 자기발열의 부품 선정
4.3 고전력 저항의 배치
4.4 COIL을 가진 부품의 배치
4.5 전자부품의 과도 현상
4.6 부품배치
4.7 유극성 부품의 방향
4.8 부품PAD 선의 끝처리
4.9 자동납땜의 경우 DIP 방향
4.10 납땜 방향의 표시
4.11 전원 CODE 삽입부의 수치
4.12 설치 HOLE 주변의 부품 위치(부품면 및 납땜면)
4.13 횡형 커넥터 배치
4.14 납땜 방향의 우선 순위
4.15 CONTACT TAB 형상
4.16 커넥터부
4.17 납땜면에 부품 설치
4.18 레지스트의 유효한 사용 방법
제5장 스루홀(Through HOLE) 설계
5.1 스루홀의 기본 구조
5.2 스루홀의 설정 조건
5.3 은(銀) 스루홀 PAD 간의 간격
5.4 동(洞) 스루홀 PAD 간의 간격
5.5 스루홀 PAD와 다른 동박 및 타 부품과의 간격(레지스트가 있을 때)
5.6 스루홀의 상호 위치
5.7 스루홀부의 배선 결손
5.8 스루홀 강도
5.9 스루홀의 배선 폭 및 배선간격
5.10 VIA
제6장 도면 설계
6.1 도면의 종류
6.2 도면의 척도
6.3 도면에 수치 지정
6.4 작도
6.5 기타기입 사항
6.6 기호의 장소
6.7 부품배치도에 사용하는 문자의 크기
6.8 기호의 표시
6.9 동박에 의한 문자 기호의 표시
6.10 잉크 인쇄
6.11 부품 배치도의 기입
6.12 부품 배치도의 색 기준
6.13 부품배치도의 색을 분간하여 사용
6.14 부품 배치도의 기입
6.15 제조시 관리 MARK 명기
6.16 동박 틀어짐 확인 MARK
6.17 형상 표시선(사진 원고도)
용어 해설
부록